2025/09/25 2

제사상에 올리지말아야할 것

제사상은 조상에 대한 예를 갖추는 자리로, 음식 선택에도 전통적 금기가 존재합니다. 이는 조상에 대한 존경과 더불어, 음식에 담긴 상징적 의미가 반영된 결과입니다. 아래에서는 대표적인 금기 음식과 그 이유를 구체적으로 정리합니다.올리지 말아야 할 대표 음식복숭아, 마늘, 고춧가루, 팥 복숭아와 마늘, 고춧가루, 팥은 귀신을 쫓는 음식으로 여겨져 제사상에 올리지 않습니다. 복숭아는 양기의 상징으로 음기인 조상신을 멀리하게 한다고 전해집니다. 팥 역시 붉은색이 잡귀를 막는다고 믿어 제사 음식에 사용하지 않습니다.‘치’로 끝나는 생선, 비늘 없는 생선 꽁치, 갈치, 삼치 등 ‘치’로 끝나는 생선은 하등 어종으로 간주되어 제외됩니다. 또한 장어나 메기처럼 비늘이 없거나 두꺼운 비늘을 가진 생선도 부정하다고 ..

카테고리 없음 2025.09.25

제사상 시접이란

제사상 시접(匙牒)은 제사나 차례에서 조상에게 바치는 음식을 드실 때 사용하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올려두는 대접 또는 접시를 의미합니다. 시접은 제사상의 첫 번째 줄에 밥과 국, 잔 등과 함께 올라가며, 신위(조상의 영혼이 머무르는 자리) 수만큼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시접의 역할과 위치시접은 단순히 수저를 올려두는 그릇이 아니라, 조상과 후손이 식사를 함께 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. 제사상에서 신위가 있는 쪽을 북쪽으로 볼 때, 시접은 밥(메)의 왼쪽에 놓거나, 신위가 여러 분일 경우 중간에 올리기도 합니다. 명절 차례에서는 떡국이나 송편이 밥 대신 올라가며, 이때도 시접은 중앙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시접 사용 방법제사를 지낼 때 숟가락은 밥이나 떡국에 꽂고, 젓가락은 시접 위에 가..

카테고리 없음 2025.09.25